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12일 대전 호텔 오노마에서 현재 공사가 보유한 물에너지를 활용, 기업의 RE100 달성을 지원하는 의미의 ‘WE100+’ 구호 아래 ‘K-water WE100+ 인사이트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RE100 정책 동향과 지원방안 등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국제 캠페인이다.
공사는 지난 2021년 4월 국내 공기업 최초로 RE100에 가입한 이후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글로벌 물기업을 목표로 온실가스 저감 방안 이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물관리 전반에 에너지 효율이 높은 설비를 도입, 에너지 낭비는 줄이고, 정수장 등의 수도 부지를 활용한 자가 소비용 태양광 및 수열 에너지·수상 태양광 등의 친환경 에너지 활용을 확대하는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양보다 감축량이 많은 진정한 의미의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공사에 따르면, 올해 예상되는 전력 사용량인 1,744GWh 대비 9월까지 발전량이 1,856GWh을 기록하며 국내 최초로 RE100 달성도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공사는 지난해 12월 네이버와 2.3MW 규모의 용담 소수력발전소 기반 직접전력거래 계약을 시작으로, 올해 5월 삼성전자, 10월 롯데케미칼과 각각 254MW 규모의 시화호 조력발전소 기반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20MW 규모의 합천댐 수상태양광 2단계 사업 기반 협약 등 핵심 수출기업의 재생에너지 확보를 지원하는 한편, 국가 수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18MW 규모의 남강댐 수력발전, 1.5MW 규모의 안동댐 소수력 발전, 두 건의 물에너지 활용 신규 직접전력거래에 대한 입찰 등을 안내했다.
또한, 국가 RE100 정책 동향과 추진 방향 등의 전문가 강연, 글로벌 기업 사례와 같은 다양한 정보도 공유됐다.
오은정 환경에너지본부장은 “RE100 규제 등 녹색 무역장벽에도 국내 재생에너지는 수출기업들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한정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RE100 달성의 핵심인 물에너지 분야의 전문역량과 풍부한 인프라를 활용, 직접 전력거래 방식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확대해 국가 탄소 경제 전환과 핵심 수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